Study 14

[Python] 2장 - 기초, 자료형 (1)

업무 효율화 및 자동화를 위해 파이썬을 공부해볼까 한다.내일 도착할 자동화 책과 현재 펼친 Do it! 점프 투 파이썬 두 책을 활용해보고자 한다.  1. 숫자형파이썬은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의 자료형을 앞에서 정의하지 않는 것이 큰 특징이다.변수명을 쓴 후, 해당 값을 넣게 되면 바로 해당 변수가 선언되는 것이다.매우 간편하지만, 때로는 JAVA 같은 언어와 달리 변수의 자료형에 맞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찾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아! 또한 세미콜론(;)을 쓰지 않아도 된다.무척 간편하지만 습관적으로 세미콜론을 입력하게 된다. 1.1 정수a=123b=-456c=0 1.2 실수a=1.2b=-3.45 소수점이 있는,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으로도 변수를 정의할 수 있다.# a는 1.23*(10..

Study/Python 2024.04.28

[JAVA] 12장 -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1. 추상 클래스 1.1 추상 클래스의 정의 추상 메서드는 '메서드의 본체가 완성되지 않은 미완성 메서드'를 말한다. 미완성 메서드라고도 부른다. 메서드의 기능을 정의하는 중괄호 안이 비어 있다는 것이 아니라 중괄호 자체가 없으며, 중괄호가 없기 때문에 명령어 끝을 알리는 세미콜론으로 끝나야 한다. abstract 리턴 타입 메서드명(입력매개변수); 추상 메서드 표현 방법 추상 메서드를 1개 이상 포함하고 있는 클래스는 반드시 추상 클래소르 정의돼야 한다. 즉, 일반적으로 추상 클래스는 메서드의 기능이 정의돼 있지 않은 미완성 메서드(중괄호가 없는 메서드)가 1개 이상 있다는 의미다. 추상 클래스의 형식은 추상 메서드 구문과 비슷하게 class 키워드 앞에 abstract를 붙여 표현한다. abstrac..

Study/JAVA 2022.10.06

[JAVA] 11장 - 자바 제어자 2

이 스터디는 책 [Do it! 자바 완전 정복]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책 한 권을 꾸준하게 노력해서 끝내는 것을 목표로 매일매일 공부한 내용을 요약 중입니다... 왜인지 조회수가 조금씩 생기고 있는데, 만약 자바 공부를 하고 싶다면 제 글보단 책 자체를 사서 읽는 걸 추천 드립니다. 노파심에 글 업로드 전에 덧붙입니다... 1. final 제어자 final 제어자는 필드, 지역 변수, 메서드, 클래스 앞에 위치할 수 있으며,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다르다. 1.1 final 변수 final 제어자는 변수를 선언할 때만 지정할 수 있으며, final 변수는 한 번 대입된 값을 수정할 수 없다. 즉, 한 번 대입된 값이 최종(final) 값이 되는 것이다. 1.1.1 주의할 점 선언과 값의 대입을 ..

Study/JAVA 2022.10.05

[JAVA] 10장 - 클래스의 상속과 다형성 (2)

1. 메서드 오버라이딩 1.1 메서드 오버라이딩의 개념과 동작 1.1.1 개념 메서드 오버라이딩은 부모 클래스에게 상속받은 메서드와 동일한 이름의 메서드를 재정의하는 것으로, 부모의 메서드를 자신이 만든 메서드로 덮어쓰는 개념이다. 1.1.2 조건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와 시그너처 및 리턴 타입이 동일해야 한다.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보다 접근 지정자의 범위가 같거나 넓어야 한다. 1.1.3 덮어쓰기와의 관계 덮어쓰기는 이전 파일이 완전히 삭제되고, 새로운 파일로 바뀌는 것. 오버라이딩은 이전의 메서드 위에 새로운 메서드가 올라(over) 타고(riding) 있는 것. 오버라이딩은 원할 때 밑에 깔려 있는 이전 객체의 메서드도 호출할 수 있다. 1.1.4 동일한 필드나 메서드가 있을 경우 객체 내에 동일한 ..

Study/JAVA 2022.10.04